반응형

투자 4

코로나 복습 - 투자의 역사는 반복된다

코로나 시기, 누군가는 돈을 벌었고, 누군가는 잃었고, 누군가는 이를 지켜보기만 했다. 복습해보자. 정광우 작가가 아주 훌륭한 책을 썼다. 1. 코로나 발발 코로나가 발발하자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다. 마침 10년 주기설과도 어느 정도 맞는 시점이고, 미국채 장단기 금리차가 가까운 과거에 역전된 이력도 있었다. 불안한 심리를 자극하기에 충분한 사건이 터진 것이다. 투자자들은 주식을 현금화하고, 나아가 공매도나 인버스에 투자해 하락장에 배팅하기 시작했다. 관건은 주가가 얼마나 하락하냐이다. 그 바닥을 모르기 때문에 우리는 투자를 망설였다. 역사적으로 보면, 미국 증시는 1950년대부터 총 11번의 침체를 겪었는데, 이때 평균 하락률은 32%였다. 반토막이 나는 경우는 2~3번에 불과했다. 사람들은 두려워하지..

경제 2023.08.12

미국 경기 침체, 진짜 오는 것인가? (2편 - 월스트리트의 지표)

경기 침체를 전망하게 만드는 또 다른 지표들을 살펴보자. 인모스트 투자자문 장재창 대표는 Franklin Templeton이라는 월스트리트의 유명 투자회사가 제시하는 지표를 설명한다.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Franklin Templeton은 그룹사 전체 기준 자산운용 규모가 '21년 기준 1800조원, 1만 여명의 인력을 가진 대형 투자 집단이다. 사실 이런 지표를 살펴보는 일은 재미없는 부분이다. 그래도 내용이 짧고 간단하니 잠시만 살펴보자.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LxNV9fH9wUU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월스트리트의 투자회사는 어떤 지표를 활용할까? 먼저 Yield Curve다. Yield Curve는 장단기 국채의 수익률(Yield. 흔히 "금리"라고 표현함..

투자 2022.07.01

미국 경기 침체, 진짜 오는 것인가? (1편 - 경기선행지수)

연일 주식시장 지수가 떨어지고 있다. 물가는 폭발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미국은 0.75%의 대폭적인 금리 인상을 발표하고, 시장은 경기 침체를 두려워하고 있다. 실제 경기 관련 지표들이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인모스트 투자자문 장재창 대표의 영상을 보고 요약해보았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7gNaWiVDZ8Y 그렇다면 정말 미국 경기 침체가 찾아올까? 블룸버그에서 '24년 1Q까지 경기 침체가 올 확률을 '22년 5월 발표 자료에서 71.7%로 높였다. Misery Index라고 불리는 물가와 실업 전반의 상황을 지수화 한 경제고통지수 또한 '75-'79년 기간 이래 40년 만에 최대 수치에 도달했다. 실제 기업을 운영하는 CEO 7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투자 2022.06.30

인플레이션 시대 주식 투자 전략 - 산업재, 소재, 유형자산 (by 장재창 대표)

'20년 미국주식이 전국민의 관심을 받을 때,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한 영상을 보았다. 자극적인 썸네일인 썸네일이나 멘트가 있지는 않다. 대중에게 유명한 채널이나 진행자도 아니었다. 하지만 그 어떤 영상보다 통찰력이 있었다. 바로 유튜브 이다. 인모스트 자산운용에서 운영하는 채널로, 현재 구독자 수가 그리 많지 않다. 이해는 된다. 유튜브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클릭할 만한"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누구나 누구든 의 장재창 대표가 전하는 시장 분석을 들어봤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다. 그래서 그가 제시한 2022년 투자 전략을 정리하고 해석했다. 인플레이션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 인플레이션 자산(Inflationary Asset)이 대체 뭘까? 주식시장에서는 가격이 오르는..

투자 2022.01.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