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38

채권 투자 용어 종류 수익률 기본기 (1)

우리는 왜 채권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답은 간단하다. 예금이나 적금보다 수익률이 좋기 때문이다. 그리고 매입 시점에 수익을 명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도 꽤나 안정적이다. 예를 들어, 대한항공 회사채의 연간 수익률은약 5%이다. 정기예금 이자는 현재 3% 정도면 많이 받는 수준이다. 대한항공 채권 사례는 아래 링크로 살펴볼 수 있다. https://frederickcenter.tistory.com/49 대한항공 회사채로 채권 투자 시작해볼까? 경제학 수업에서 금리(이자율)가 오르면 채권가격이 떨어진다고 배웠다. 금리가 오르면 미래 받을 수 있는 이자를 현재가치로 환산했을 때 그 값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지금 한국은 금리인상기 frederickcenter.tistory.com 채권에 기입된 기본 용..

투자 2022.07.25

대한항공 회사채로 채권 투자 시작해볼까?

경제학 수업에서 금리(이자율)가 오르면 채권가격이 떨어진다고 배웠다. 금리가 오르면 미래 받을 수 있는 이자를 현재가치로 환산했을 때 그 값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지금 한국은 금리인상기이다. '21년 8월부터 금리가 꽤 올라서 '22년 7월 기준으로 2.25%이다. 한편, 유동성이 축소되고 환율 때문에 자본이 해외(특히 미국으로)로 유출되면서 주식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 하지만 아직 주식에 투자하기는 불안하다. 그리고 우리 모두 주식보다는 채권 수익이 훨씬 안정적이라는 사실을 안다. 채권을 발행하는 회사나 국가가 망하지 않는 이상 돈 떼일 일은 없기 때문이다. 이자도 고정된 이자율 대로 들어온다. 그렇다면, 지금이야말로 채권 투자의 적기가 아닌가!? 이라는 채권을 사례로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채권 ..

투자 2022.07.19

미국 경기 침체가 생각보다 심하지 않다?!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다. 미국은 며칠 전 6월 물가 상승률이 전년 대비 9.2%라고 발표했다. 소비 심리가 이미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고, 인플레이션 때문에 연준은 높은 확률로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다. 금리가 올라 기업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가계부채의 부담은 커지며, 인플레이션 때문에 수요 또한 주춤한 상황이다. 우리는 경기 침체를 우려한다. 곳곳에서 '97년 IMF 사태와의 유사점을 언급하기도 한다. 경기침체, 그렇게 심각하지 않다? 그런데 실제 미국 경기침체가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다는 분석이 보인다. 경기침체는 부채가 부담될 때 큰 폭발력을 갖게 된다. '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누구나 주택담보대출(모지기)를 받을 수 있었고, 증권..

투자 2022.07.15

미국 경기 침체, 진짜 오는 것인가? (2편 - 월스트리트의 지표)

경기 침체를 전망하게 만드는 또 다른 지표들을 살펴보자. 인모스트 투자자문 장재창 대표는 Franklin Templeton이라는 월스트리트의 유명 투자회사가 제시하는 지표를 설명한다.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Franklin Templeton은 그룹사 전체 기준 자산운용 규모가 '21년 기준 1800조원, 1만 여명의 인력을 가진 대형 투자 집단이다. 사실 이런 지표를 살펴보는 일은 재미없는 부분이다. 그래도 내용이 짧고 간단하니 잠시만 살펴보자.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LxNV9fH9wUU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월스트리트의 투자회사는 어떤 지표를 활용할까? 먼저 Yield Curve다. Yield Curve는 장단기 국채의 수익률(Yield. 흔히 "금리"라고 표현함..

투자 2022.07.01

미국 경기 침체, 진짜 오는 것인가? (1편 - 경기선행지수)

연일 주식시장 지수가 떨어지고 있다. 물가는 폭발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미국은 0.75%의 대폭적인 금리 인상을 발표하고, 시장은 경기 침체를 두려워하고 있다. 실제 경기 관련 지표들이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인모스트 투자자문 장재창 대표의 영상을 보고 요약해보았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7gNaWiVDZ8Y 그렇다면 정말 미국 경기 침체가 찾아올까? 블룸버그에서 '24년 1Q까지 경기 침체가 올 확률을 '22년 5월 발표 자료에서 71.7%로 높였다. Misery Index라고 불리는 물가와 실업 전반의 상황을 지수화 한 경제고통지수 또한 '75-'79년 기간 이래 40년 만에 최대 수치에 도달했다. 실제 기업을 운영하는 CEO 7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투자 2022.06.30

인플레이션 시대 주식 투자 전략 - 산업재, 소재, 원자재 미국 ETF 알아보기

2022년 인플레이션의 시대에 유망한 투자 분야로 산업재 및 소재 분야를 언급했다. (아래 링크 참조) https://frederickcenter.tistory.com/37 인플레이션 시대 2022년 주식 투자 전략 - 산업재, 소재, 유형자산 (by 장재창 대표) '20년 미국주식이 전국민의 관심을 받을 때,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한 영상을 보았다. 자극적인 썸네일인 썸네일이나 멘트가 있지는 않다. 대중에게 유명한 채널이나 진행자도 아 frederickcenter.tistory.com 일단 산업재, 소재가 뭐지? 산업재는 대부분의 산업에 필요한 재화/서비스 등을 말한다. 건설과 엔지니어링, 항공, 전자부품, 공항서비스, 철도, 해상운송 등이 여기에 속한다. 소재란 많은 산업(특히 제조, 건..

투자 2022.01.05

인플레이션 시대 주식 투자 전략 - 산업재, 소재, 유형자산 (by 장재창 대표)

'20년 미국주식이 전국민의 관심을 받을 때,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한 영상을 보았다. 자극적인 썸네일인 썸네일이나 멘트가 있지는 않다. 대중에게 유명한 채널이나 진행자도 아니었다. 하지만 그 어떤 영상보다 통찰력이 있었다. 바로 유튜브 이다. 인모스트 자산운용에서 운영하는 채널로, 현재 구독자 수가 그리 많지 않다. 이해는 된다. 유튜브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클릭할 만한"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누구나 누구든 의 장재창 대표가 전하는 시장 분석을 들어봤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다. 그래서 그가 제시한 2022년 투자 전략을 정리하고 해석했다. 인플레이션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 인플레이션 자산(Inflationary Asset)이 대체 뭘까? 주식시장에서는 가격이 오르는..

투자 2022.01.03

투자의 원칙은 본업을 지키는 것 - 삼프로TV 김프로 김동환

투자의 시대다. 투자에 성공해서 벼락부자가 되는 것이 문제가 아니다. 투자를 하지 않으면 벼락 거지가 되는 세상이다. 즉, 숨을 쉬고 밥을 먹고 잠을 자듯이, 이제 누구나 투자해야만 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 투자는 어떻게 해야하는 것일까? 투자에 원칙이 무엇일까? 고민이 많지만, 늘 그렇듯 나의 학습 방법은 간단하다. 거인의 어깨에서 세상을 보는 것. 자주 보는 유튜브 의 김프로로 알려진 김동환 대표라면 거인이 아닐까? 김프로가 세바시에서 자신의 투자 원칙을 설명한 것을 요약, 해석해 본다. 투자의 원칙은 본업을 지키는 것 주식에 투자한다는 것은 동업자가 되는 것이다. 동업자금을 더 대기도 하고, 일부를 회수하기도 하면서 함께 가는 것이다. 동업이라고 생각하면 당연히 내가 누구와 동업을 하는지, 어떤 사..

투자 2021.12.23
반응형